맨위로가기

게이한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한 본선은 요도야바시역에서 산조역까지 49.3km를 잇는 게이한 전기철도의 간선 노선이다. 표준궤를 사용하며, 40개의 역과 1개의 신호장을 갖추고 있다. 덴마바시역과 네야가와 신호장 사이는 복복선으로, 최고 속도는 110km/h이다. 이 노선은 오사카와 교토를 연결하며, 다양한 열차 운행 형태와 급행, 특급 등의 종별을 제공한다. 2022년 기준 혼잡률은 116%이며, 주요 역에서는 하루 평균 수만 명이 이용한다. 운전 보안을 위해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와 건널목 집중 감시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설비가 갖춰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한 전기 철도의 철도 노선 - 게이한 게이신선
    게이한 게이신선은 교토와 오쓰를 잇는 게이한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과 직결 운행하며 미사사기역에서 비와코하마오쓰역까지 게이한 800계 전동차가 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 게이한 전기 철도의 철도 노선 - 게이한 나카노시마선
    게이한 나카노시마선은 게이한 전기 철도와 나카노시마 고속 철도가 운영하는 3.0km 지하 철도 노선으로, 덴마바시역을 포함한 5개 역으로 구성되어 게이한 본선과 직결 운행하며 오사카와 교토를 연결하고, 향후 나니와스지선 연결 및 유메시마 연장 계획이 검토 중이다.
  • 20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베이징 지하철 8호선
    베이징 지하철 8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총 길이 49.5km에 35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고 여러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 200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항화물선
    장항화물선은 장항역과 장항화물역을 연결하는 총 연장 4.2km의 화물 철도 노선이었으며, 2008년 군산선과 직결되어 신설되었으나 2021년 폐선되었다.
  • 192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192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게이한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게이한 본선
원어 이름京阪本線
원어 이름 (언어)ja
노선 색상#1d2088
노선 기호[[파일:Keihan Symbol.svg|20px|게이한 전기 철도]]
로고[[파일:Number prefix Keihan lines.svg|25px]]
노선 종류철도 노선
운영 주체게이한 전기 철도
소유자게이한 전기 철도
개통일1910년 4월 15일
완전 개통일1913년 10월 27일
상태영업 중
위치오사카부, 교토부
기점요도야바시 역
종점산조 역
역 수40역
노선 길이49.3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복복선 (덴마바시 - 네야가와 신호소)
복선 (요도야바시 - 덴마바시, 네야가와 신호소 - 산조)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K-ATS
차량 기지네야가와 차량기지, 요도 차량기지
최대 구배33퍼밀
최소 곡선 반지름200 m
최고 속도110 km/h
개정된 색상 체계의 게이한 8000 시리즈 특급 열차
마키노역 부근을 주행하는 8000계 전동차에 의한 특급 열차
차량게이한 전기철도 현유 차량 참조
운행 정보
노선도[[파일:Keihan Electric Railway Linemap.svg|게이한 전기 철도 노선도]]
역 목록
주요 역요도야바시 역
기타하마 역
덴마바시 역
교바시 역
모리구치시 역
가도마시 역
네야가와시 역
히라카타시 역
구즈하 역
야와타시 역
주쇼지마 역
단바바시 역
후시미이나리 역
도바카이도 역
도후쿠지 역
시치조 역
기요미즈고조 역
기온시조 역
산조 역
기타 정보
차량 기지네야가와, 요도
참고 자료

2. 노선 정보

게이한 본선은 일본 긴키 지방의 대도시인 오사카시교토시를 잇는 4개의 철도 노선 중 하나로, 가장 남쪽에 위치한다. 다른 노선들과 달리 요도강의 남쪽을 지나며, 선형이 불량하여 오사카 시와 교토 시를 오가는 시간이 가장 길다.

오사카시의 비즈니스가에 있는 요도야바시역에서 오사카 환상선과 환승역인 교바시역, 교외의 베드타운에 있는 히라카타시역, 교토시 최대의 번화가인 사조통에 위치한 기온시조역을 거쳐 산조역까지를 잇는 도시간 철도(인터어번)이다. 산조역에서 오토선에 직통하여 데마치야나기역까지 운행되며, 나카노시마선에도 일부 열차가 직통한다.

노선명은 '''경'''토와 대'''판'''을 잇는 철도 노선이라는 데에서 유래했다. JR 교토 선(도카이도 본선)이나 한큐 교토 본선요도가와 북쪽을 통과하는 것과 달리, 게이한 본선은 요도가와 남쪽을 지나며, 오사카와 교토의 역사적인 도심을 직결한다.

오사카와 교토로의 통근·통학 노선이자, 연선에는 이시키미즈하치만궁,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기요미즈데라 등 많은 관광 명소와 히라카타 파크, 교토 경마장 등의 오락 시설이 있어 관광 노선 역할도 한다. 그 밖에, 오사카 측의 노에역 - 모리구치시역 간에서는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과, 교토 측의 나카가시마역 - 도후쿠지역 간에서는 JR 나라선, 긴테쓰 교토선과 병행하고 있다.

1987년에는 교토 시내의 지하선(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이 완성되었으며, 1993년히라카타시역, 1999년네야가와시역, 2011년요도역이 고가화되었다.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역 - 히라카타시역 간에서 연속입체교차사업(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을 시행하고 있으며, 2028년도 이후에 완료할 예정이다.[9]

2. 1. 노선 데이터

항목내용
노선 거리 (영업 거리)요도야바시역 - 산조역 간 49.3km
궤간1,435mm
역 수40개 역 (기종점역 포함), 신호장 1개소
복선 구간
전철화 구간전 구간 전철화 (직류 1,500V)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최고 속도110km/h[11]
안전 설비K-ATS
건널목77개소. 모두 제1종 甲, 그 중 자동차 통행이 가능한 64개소에는 건널목 장애물 검지 장치 설치.
최대 구배33‰ (덴마바시역시치조역에서 지상으로 올라가는 구배)
최대 곡선 반경200m (기타하마역 교토 쪽 곡선[12])
변전소5개소의 간사이전력 변전소에서 수전, 노선 연선 15개소의 경한 변전소에서 직류 1,500V로 변환하여 송전[13]



정전에 대비하여 가스터빈발전기가 산조 변전소와 가모 변전소에 설치되어 있다.

2. 2. 연선 풍경

일본 긴키 지방의 대도시인 오사카시교토시를 잇는 4개의 철도 노선 중 하나로, 가장 남쪽에 위치한다. 다른 3개의 노선인 한큐 교토 본선, JR 교토 선(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신칸센요도강의 북쪽을 지나는 데 비해, 게이한 본선은 요도강의 남쪽을 지난다. 선형이 다른 노선에 비해 불량하여 오사카 시와 교토 시를 오가는 시간이 가장 길다.

오사카시의 비즈니스가에 있는 요도야바시역에서 오사카 환상선과 환승역인 교바시역, 교외의 베드타운에 있는 히라카타시역, 교토시 최대의 번화가인 사조통에 위치한 기온시조역을 거쳐 산조역까지를 잇는 도시간 철도(인터어번)이다.

노선명 및 회사명은 '''경'''토와 대'''판'''을 잇는 철도 노선이라는 데에 유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오사카와 교토를 잇고 있는 JR교토선(동해도본선)이나 한큐교토본선은 대부분이 요도가와의 북쪽(우안)을 통과하는데 반해, 경한 본선은 대부분이 요도가와의 남쪽(좌안)을 통과하며, 각각 오사카 측・교토 측의 터미널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JR이나 한큐와의 직접적인 경쟁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오사카 - 교토 간을 직선적으로 잇는 JR이나 한큐에 대해, 경한 본선은 경가도를 따라 후시미숙, 요도숙, 히라카타숙, 모리구치숙 등 에도 시대부터의 숙장가를 따라 잇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미세한 곡선이 많고, 노선 거리가 길다.[6]

오사카 또는 교토로의 통근·통학 노선이지만, 연선에는 이시키미즈하치만궁,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기요미즈데라, 록파라밋스지, 야사카신사, 선도초, 기온 등 수많은 관광 명소와, 히라카타코엔역 앞에는 경한의 그룹 회사 운영으로 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유원지인 「히라카타파크」(통칭: 히라파), 요도역 앞에는 중앙경마 개최지인 교토경마장 등의 오락 시설이 있어, 이들에 대한 방문객 수송을 담당하는 관광 노선이기도 하다.

그 밖에, 오사카 측의 노에역 - 모리구치시역 간에서는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과, 교토 측의 나카가시마역 - 도후쿠지역 간에서는 JR나라선, 긴테츠교토선과 병행하고 있다.

요도야바시역(요도야바시에키)는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과 연결되는 지하역이며, 주변은 오사카 시청과 나카노시마 공회당, 나카노시마 도서관 등 오사카에서 손꼽히는 관청가이다. 오사카 메트로 사카이스지선과 연결되는 역인 기타하마역(오사카 증권거래소(구・오사카 증권거래소) 최근역)을 지나면 나카노시마선과 합류하여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과 연결되는 덴마바시역(덴마바시에키)에 도착한다. 1963년 요도야바시 지하 연장선 개통 전까지는 덴마바시역이 기점이었으며, 북쪽의 지상역 터에는 OMM 빌딩이 들어서 있다. 역의 메인 테넌트는 마쓰자카야였지만, 현재는 "교토한신시티몰"이 되어 메인 테넌트로 에디온과 준쿠도 서점이 입점해 있다. 덴마바시역부터 복복선이 되어 지상으로 나와 네야가와 강을 건너 고가철로로 올라가면 교바시역(교바시에키)에 도착한다. 교바시역은 오사카 환상선・JR 도자이선가쿠켄도시선과 연결되는 역이며, 주변은 1990년 오사카 꽃 박람회를 계기로 오사카 비즈니스 파크(OBP) 등 급격한 재개발이 진행된 지역 중 하나이다.

교바시역을 지나면 방향별 복복선이 되어 안쪽 2선을 주로 급행열차가, 바깥쪽 2선을 주로 보통열차가 사용하기 때문에 복복선 구간의 많은 역에는 안쪽 선에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오사카 환상선을 지나 북쪽으로 커브하여 오사카 동선을 지나면 노에역, 오사카 메트로 이마자토스지선과 연결되는 세키메역, 한신고속도로 12호 모리코지선을 지나 모리코지역을 지나면 다이에 발상지(현재는 폐점)가 있는 센바시 상점가가 있는 센바시역, 모리구치시에 들어가 타키이역, 도이역과 800m 정도의 거리로 3개 역이 밀집한 구간을 지나 교토한신백화점이 있는 모리구치시역(모리구치시에키)에 도착한다. 안쪽 선에도 승강장이 있으며, 쾌속급행 정차역이지만,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하행선은 대부분의 급행열차가 통과하는 것도 특징이다. 모리구치시역까지는 직선이 이어졌지만, 이 역을 지나면 점차 커브가 많아진다. 대기업 전자제품 제조업체 파나소닉의 본사 공장 최근역인 니시산소역(니시산소에키)에서 카도마시에 들어가 일단 지상으로 내려가 긴키자동차도・오사카 중앙환상선을 지나 오사카 모노레일과 연결되는 카도마시역(카도마시에키)을 지나면 다시 고가철로로 올라간다. 오사카부 카도마 운전면허시험장 최근역인 후루카와바시역, 오와다역을 지나면 네야가와시에 들어가 카야시마역(카야시마에키)에 도착한다. 안쪽 선에도 승강장이 있으며, 하행선 승강장과 지붕을 뚫고 자란 녹나무로 유명하다. 복복선은 사실상 이 역까지이며, 보통열차와 구간 급행열차를 중심으로 기점과 종착역 열차가 많다.

카야시마역을 지나면 복복선의 바깥쪽 2선은 고가철로를 내려가 네야가와 신호장으로 연결되는 회송선이 되고, 영업선은 복선이 된다. 곧 오른쪽에 네야가와 차고・네야가와 차량공장이 보이고, 네야가와시역을 지나면 고가철로를 내려가 나리타산 후도존 최근역으로 대피 설비가 있는 카오리엔역(카오리엔에키)에 도착한다. 히라카타시에 들어가 코젠지역을 지나 국도 1호(히라카타 바이패스)를 지나, 오른쪽에 히라카타 파크가 보이면 히라카타코엔역을 지나 크게 커브하여 고가철로로 올라가면 특급 정차역으로 코노선과 연결되는 히라카타시역(히라카타시에키)에 도착한다. 히라카타시역을 출발하면 지상으로 내려가, 고텐야마역, 마키노역을 지나면, 왼쪽으로 커브하여 급경사를 올라가 오른쪽으로 꺾인다. 가선 방식이 복합식 캐터너리 방식에서 단순식 캐터너리 방식으로 바뀌고, 조금 달리면 교토한신전기철도 본선에서 오사카부의 가장 동쪽에 있으며, 쿠즈하 몰 최근역으로 특급 정차역인 쿠즈하역(쿠즈하에키)에 도착한다. 쿠즈하역에서는 교토부의 야마토시와 쿠구야마정 방면으로 향하는 교토한신전기철도 버스가 발착하기도 하며, 교토부 주민의 이용객이 많고 기점·종착역 열차가 많고, 주변 지역은 교토한신전기철도가 적극적으로 부동산 사업을 전개한 것이 특징이다.

3. 운행 형태

일본 긴키 지방의 대도시인 오사카시교토시를 잇는 4개의 철도 노선 중 하나로, 가장 남쪽에 위치한다. 다른 3개의 노선인 한큐 교토 본선, JR 교토 선(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신칸센이 요도강의 북쪽을 지나는 데 비해, 게이한 본선은 요도강의 남쪽을 지난다. 선형이 다른 노선에 비해 불량하여 오사카 시와 교토 시를 오가는 시간이 가장 길다. 따라서 다양한 열차 종별과 무료 특급을 자주 운행해 승객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오랫동안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바시 역 - 네야가와 역 구간을 복복선화했고, 한때 특급 열차에 TV를 설치하기도 했다.[1]

오사카시의 중심 지구인 우메다난바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우메다역으로 가는 철도 노선을 계획 중이나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반면 교토시의 중심 지구인 산조 거리나 시치조 거리, 데마치야나기 등으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교토 시 쪽에서는 상당한 우위에 있다.

오사카시의 비즈니스가에 있는 요도야바시역에서 오사카 환상선과 환승역인 교바시역, 교외의 베드타운에 있는 히라카타시역, 교토시 최대의 번화가인 사조통에 위치한 기온시조역을 거쳐 산조역까지를 잇는 도시간 철도(인터어번)이다. 산조역에서 게이한 본선의 실질적인 연장 노선인 오토 선에 직통 운전하여 데마치야나기역까지 이르며, 오토 선과는 일체적인 다이어 체계로 운행된다. 또한, 덴마바시역에서 분기하여 오사카시 기타구의 비즈니스가인 나카노시마 지역을 통과하는 나카노시마 선에도 일부 열차가 직통한다.

오사카 또는 교토로의 통근·통학 노선이지만, 연선에는 이시키미즈하치만궁,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기요미즈데라, 로쿠하라미쓰지, 야사카 신사, 센도초, 기온 등 수많은 관광 명소와, 히라카타코엔역 앞에는 게이한의 그룹 회사 운영으로 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유원지인 「히라카타 파크」(통칭: 히라파), 요도역 앞에는 중앙경마 개최지인 교토경마장 등의 오락 시설이 있어, 이들에 대한 방문객 수송을 담당하는 관광 노선이기도 하다.

노선명 및 회사명은 '''경'''토와 대'''판'''을 잇는 철도 노선이라는 데에 유래하고 있다. JR 교토 선(도카이도 본선)이나 한큐 교토 본선은 대부분이 요도가와의 북쪽(우안)을 통과하는데 반해, 게이한 본선은 대부분이 요도가와의 남쪽(좌안)을 통과하며, 각각 오사카 측・교토 측의 터미널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JR이나 한큐와의 직접적인 경쟁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오사카 - 교토 간을 직선적으로 잇는 JR이나 한큐에 대해, 게이한 본선은 경가도를 따라 후시미슈쿠, 요도슈쿠, 히라카타슈쿠, 모리구치슈쿠 등 에도 시대부터의 슈쿠바 정을 따라 잇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미세한 곡선이 많고, 노선 거리가 길다.[6] 승차 시간도 길어지지만, 오사카와 교토의 역사적인 도심을 직결하는 편리성에 더해, 「더블데커」(2층 건 차량)나 유료 좌석 지정 특별 차량 「프리미엄카」을 연결하는, 주거성이 뛰어난 전용 차량에 의한 특급을 운행하고 있으며, 「게이한 특급」의 애칭으로 친숙하다.

그 밖에, 오사카 측의 노에 역 - 모리구치시 역 간에서는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과, 교토 측의 나카가시마 역 - 도후쿠지 역 간에서는 JR 나라선, 긴테쓰 교토선과 병행하고 있다.

게이한 본선은 『철도요람』에서는 오사카의 요도야바시 역을 기점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운행상의 기점역은 교토의 산조 역이며, 교토에서 오사카로 향하는 열차가 「하행」, 그 역이 「상행」이 된다(가타마치선이나 한큐 교토 본선도 마찬가지).[7]

오사카 시내의 요도야바시 역 - 덴마바시역 간과 교토 시내의 시치조역 - 산조 역 간은 지하선이 되어 있다. 도후쿠지역 - 산조 역 간은 궤도법에 근거한 궤도였지만 2013년 12월 20일 허가로 철도사업법에 근거한 철도로 변경되었다.[130] 또한, 덴마바시 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의 12.5km는 간사이 대수 사철 최장의 복복선이 되어 있으며, 열차 종별에 따라 주행하는 선로를 달리함으로써 열차 본수가 많은 다이어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입체 교차 공사나 배리어프리 대응의 공사는 비교적 진행되고 있다. 주요 대규모 공사로서, 1970년의 덴마바시 역 - 가모생 신호소 간의 복복선 입체 교차화를 시작으로, 도이 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의 복복선 고가화가 1982년에 준공되어, 기존의 복복선과 합쳐 덴마바시 역에서 12.5km의 복복선과 요도야바시 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14.1km가 입체 교차화되었다. 1987년에는 교토 시내의 지하선(도후쿠지 역 - 산조 역 간)이 완성되어, 이 지하 신역부터 휠체어 대응 엘리베이터나 다목적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1993년에 히라카타시 역이, 1999년네야가와시역이, 2011년에 요도 역이 고가화되었다. 요도야바시 역에서 네야가와 시의 네야가와 6호 건널목까지 약 15km가 입체 교차화되어 있다.[8]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 역 - 히라카타시 역 간에서 연속 입체 교차 사업(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을 시행하고 있다.[9] 2028년도 이후에 완료할 예정이다.

3. 1. 열차 종별

게이한 본선에는 총 10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이는 일본 국내 대형 사철 중 가장 많은 종류이다.[1] 2022년 3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열차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 라이너 (ライナー|라이나일본어) (Ln)[2]: 전 좌석 지정석. 아침에는 하행, 저녁에는 상행으로 운행하며, 평일에만 운행한다.
  • 쾌속특급 "라쿠라쿠" (快速特急"洛楽"|카이소쿠토큐"라쿠라쿠"일본어) (RLE): 프리미엄 객차는 지정석 전용이다.
  • 특급 (特急|톳큐일본어) (LE): 프리미엄 객차는 지정석 전용이다.
  • 통근쾌급 (通勤快急|쓰킨카이큐일본어) (CRE): 평일 아침 하행 열차만 운행한다.
  • 쾌속급행 (快速急行|카이소쿠큐코일본어) (RE): 프리미엄 객차는 지정석이다.
  • 심야급행 (深夜急行|신야큐코일본어) (ME): 상행 열차만 운행 (2021년 7월 운행 중지). 요도야바시역에서 구즈하역까지 0시 20분에 출발하며, 모리구치시역히라카타코엔역을 경유한다.
  • 급행 (急行|큐코일본어) (Ex)
  • 통근준급 (通勤準急|쓰킨쥰큐일본어) (CSbE): 평일 아침 하행 열차만 운행한다. 아침에 데마치야나기역, 구즈하역, 히라카타시역에서 요도야바시역 또는 나카노시마역까지 운행하며, 모리구치시역을 경유한다.
  • 준급 (準急|쥰큐일본어) (SbE)
  • 구간급행 (区間急行|쿠칸큐코일본어) (SmE)
  • 보통 (普通|후쓰일본어): 모든 역에 정차한다.

비첨두 시간대 1시간당 운행 편수

열차 종류운행 구간횟수
특급요도야바시역 - 데마치야나기역6회 왕복
급행요도야바시역 - 구즈하역3회 왕복
준급요도야바시역 - 데마치야나기역3회 왕복
보통나카노시마 - 가야시마역6회 왕복 (그 중 3회는 데마치야나기까지 연장 운행)



대부분의 열차가 산조역에 도착하는 가모토 선 데마치야나기역까지 직통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덴마바시역에서 나카노시마 선 나카노시마역까지 직통 운행한다.

3. 2. 운전 편수

2021년 9월 25일 열차 운행 개정 시점 일반적인 주간 시간대 1시간당 운행 편수[1]
종류운행 구간횟수
특급요도야바시-데마치야나기6회 왕복
급행요도야바시-구즈하3회 왕복
준급요도야바시-데마치야나기3회 왕복
보통나카노시마-카야시마6회 왕복 (그 중 3회는 데마치야나기까지 연장 운행)


3. 3. 임시 열차

교토 경마장에서 경마가 개최될 때, 요도역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는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연말연시, 오산봉송화, 기온마쓰리, 우지가와 불꽃놀이 대회, 텐진마쓰리 등 특별한 경우에는 임시 열차가 운행되거나 정기 열차의 운행 구간이 변경된다.[1]

4. 역사

덴마바시역~기요미즈고조역 구간은 1910년 직류 1500V로 전철화된 복선으로 개통되었고, 1915년 산조까지 연장되었다. 덴마바시~요도야바시역 구간은 1963년에 개통되었다.

1970년 덴마바시역 - 가모생 신호소 간 복복선 입체 교차화를 시작으로, 1982년 도이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복복선 고가화가 준공되어 덴마바시역에서 12.5km 구간이 복복선화되었고 요도야바시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14.1km 구간이 입체 교차화되었다. 1987년에는 교토 시내 지하선(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이 완성되어 휠체어 대응 엘리베이터나 다목적 화장실이 설치되었다.

1993년 히라카타시역, 1999년 네야가와시역, 2011년 요도역이 고가화되었다. 요도야바시역에서 네야가와시 네야가와 6호 건널목까지 약 15km가 입체 교차화되었다.[8]

고리엔역히라카타코엔역 사이 구간은 2013년 토지 매입 등 예비 공사를 시작으로, 2022년 9월부터 고가화 공사가 시작되었다.[3] 이 프로젝트는 해당 구간의 건널목 21개를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중 일부는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최대 40분 동안 통행이 제한된다. 공사는 2027년에 완료될 예정이며, 고가선로 전환은 2028년에 이루어질 예정이다.[3]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역 - 히라카타시역 간 연속입체교차사업(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을 시행하고 있으며, 2028년도 이후에 완료할 예정이다.[9]

2017년 8월 21일,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특급 차량 8000계열 열차로 운행되는 '''전 좌석 지정''' 열차인 '라이너' 운행이 시작되었다.[21]

4. 1. 창업과 발전

오사카시의 비즈니스가에 있는 요도야바시역에서 오사카 환상선과 환승역인 교바시역, 교외의 베드타운에 있는 히라카타시역, 교토시 최대의 번화가인 사조통에 위치한 기온시조역을 거쳐 산조역까지를 잇는 도시간 철도(인터어번)이다. 산조역에서 경한 본선의 실질적인 연장 노선인 압동선에 직통하여 데마치야나기역까지 이르며, 압동선과는 일체적인 다이어 체계로 운행된다. 또한, 덴마바시역에서 분기하여 오사카시 기타구의 비즈니스가인 나카노시마 지역을 통과하는 나카노시마선에도 일부 열차가 직통한다. 우지선・고노선과의 직통 운전은 과거에는 시행되었지만 폐지되었다.

오사카 또는 교토로의 통근·통학 노선이지만, 연선에는 이시키미즈하치만궁,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기요미즈데라, 록파라밋스지, 야사카신사, 선도초, 기온 등 수많은 관광 명소와, 히라카타코엔역 앞에는 경한의 그룹 회사 운영으로 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유원지인 「히라카타파크」(통칭: 히라파), 요도역 앞에는 중앙경마 개최지인 교토경마장 등의 오락 시설이 있어, 이들에 대한 방문객 수송을 담당하는 관광 노선이기도 하다.

노선명 및 회사명은 '''경'''토와 대'''판'''을 잇는 철도 노선이라는 데에 유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오사카와 교토를 잇고 있는 JR교토선(동해도본선)이나 한큐교토본선은 대부분이 요도가와의 북쪽(우안)을 통과하는데 반해, 경한 본선은 대부분이 요도가와의 남쪽(좌안)을 통과하며, 각각 오사카 측・교토 측의 터미널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JR이나 한큐와의 직접적인 경쟁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오사카 - 교토 간을 직선적으로 잇는 JR이나 한큐에 대해, 경한 본선은 경가도를 따라 후시미숙, 요도숙, 히라카타숙, 모리구치숙 등 에도 시대부터의 숙장가를 따라 잇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미세한 곡선이 많고, 노선 거리가 길다.[6] 승차 시간도 길어지지만, 오사카와 교토의 역사적인 도심을 직결하는 편리성에 더해, 「더블데커」(2층 건 차량)나 유료 좌석 지정 특별 차량 「프리미엄카」을 연결하는, 주거성이 뛰어난 전용 차량에 의한 특급을 운행하고 있으며, 「경한특급」의 애칭으로 친숙하다.

그 밖에, 오사카 측의 노에역 - 모리구치시역 간에서는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과, 교토 측의 나카가시마역 - 도후쿠지역 간에서는 JR나라선, 긴테츠교토선과 병행하고 있다.

경한 본선은 『철도요람』에서는 오사카의 요도야바시역을 기점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운행상의 기점역은 교토의 산조역이며, 교토에서 오사카로 향하는 열차가 「하행」, 그 역이 「상행」이 된다(가타마치선이나 한큐교토본선도 마찬가지).[7]

오사카 시내의 요도야바시역 - 덴마바시역 간과 교토 시내의 시치조역 - 산조역 간은 지하선이 되어 있다. 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은 궤도법에 근거한 궤도였지만 2013년 12월 20일 허가로 철도사업법에 근거한 철도로 변경되었다.[130] 또한, 덴마바시역 - 네야가와신호소 간의 12.5km는 간사이 대수 사철 최장의 복복선이 되어 있으며, 열차 종별에 따라 주행하는 선로를 달리함으로써 열차 본수가 많은 다이어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입체교차 공사나 배리어프리 대응의 공사는 비교적 진행되고 있다. 주요 대규모 공사로서, 1970년의 덴마바시역 - 가모생 신호소 간의 복복선 입체 교차화를 시작으로, 도이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의 복복선 고가화가 1982년에 준공되어, 기존의 복복선과 합쳐 덴마바시역에서 12.5km의 복복선과 요도야바시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14.1km가 입체 교차화되었다. 1987년에는 교토 시내의 지하선(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이 완성되어, 이 지하 신역부터 휠체어 대응 엘리베이터나 다목적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1993년에 히라카타시역이, 1999년네야가와시역이, 2011년에 요도역이 고가화되었다. 요도야바시역에서 네야가와시의 네야가와 6호 건널목까지 약 15km가 입체 교차화되어 있다.[8]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역 - 히라카타시역 간에서 연속입체교차사업(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을 시행하고 있다.[9] 2028년도 이후에 완료할 예정이다.[9]

덴마바시~기요미즈고조 구간은 1910년 직류 1500V의 전철화된 복선으로 개통되었고, 1915년 산조까지 연장되었다. 덴마바시~요도야바시 구간은 1963년에 개통되었다.

고리엔역과 히라카타코엔역 사이 구간은 2022년 9월부터 고가화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3] 토지 매입 등 예비 공사는 2013년부터 이미 진행되어 왔다.[3] 이 프로젝트는 해당 구간의 21개의 건널목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중 일부는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최대 40분 동안 통행이 제한된다. 공사는 2027년에 완료될 예정이며, 고가선로로 전환은 2028년에 이루어질 예정이다.[3]

4. 2. 전후의 변화와 발전

덴마바시~기요미즈고조 구간은 1910년 직류 1500V로 전철화된 복선으로 개통되었고, 1915년 산조까지 연장되었다. 덴마바시~요도야바시 구간은 1963년에 개통되었다.

오사카시의 비즈니스가에 있는 요도야바시역에서 오사카 환상선과 환승역인 교바시역, 교외의 베드타운에 있는 히라카타시역, 교토시 최대의 번화가인 사조통에 위치한 기온시조역을 거쳐 산조역까지를 잇는 도시간 철도(인터어번)이다.

1993년에 히라카타시역이, 1999년네야가와시역이, 2011년에 요도역이 고가화되었다. 요도야바시역에서 네야가와시의 네야가와 6호 건널목까지 약 15km가 입체 교차화되었다.[8] 고리엔역과 히라카타코엔역 사이 구간은 2022년 9월부터 고가화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다.[3] 토지 매입 등 예비 공사는 2013년부터 이미 진행되어 왔다.[3] 이 프로젝트는 해당 구간의 21개의 건널목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중 일부는 아침과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최대 40분 동안 통행이 제한된다. 공사는 2027년에 완료될 예정이며, 고가선로로 전환은 2028년에 이루어질 예정이다.[3]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역 - 히라카타시역 간에서 연속입체교차사업(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을 시행하고 있으며, 2028년도 이후에 완료할 예정이다.[9]

4. 3. 연표


  • 1910년: 덴마바시~기요미즈고조 구간, 직류 1500V 전철화 복선 개통.[3]
  • 1915년: 산조까지 노선 연장.[3]
  • 1963년: 덴마바시~요도야바시 구간 개통.[3]
  • 1970년: 덴마바시역 - 가모생 신호소 간 복복선 입체 교차화.
  • 1982년: 도이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복복선 고가화 준공. 덴마바시역에서 12.5km 복복선 및 요도야바시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14.1km 입체 교차화.
  • 1987년: 교토 시내 지하선(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 완성. 휠체어 대응 엘리베이터 및 다목적 화장실 설치.
  • 1989년: 7000계 전동차(영문 표기 행선 표시등) 등장.
  • 1993년: 히라카타시역 고가화.
  • 1999년: 네야가와시역 고가화.
  • 2011년: 요도역 고가화.
  • 2013년: 12월 20일, 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 궤도법 기반 궤도에서 철도사업법 기반 철도로 변경 허가.[130]
  • 2013년: 고리엔역-히라카타코엔역 구간 고가화 공사 관련 토지 매입 등 예비 공사 시작.[3]
  • 2017년 8월 21일: '라이너' 운행 개시 (평일 아침 요도야바시행 2편: 히라카타시 발·쿠즈하 발 각 1편). 교바시역까지 논스톱 운행.[21]
  • 2018년 9월 15일: '라이너' 정차역, 특급과 동일하게 변경. 평일 아침 쿠즈하 발 1편 증편, 기존 쿠즈하 발 열차 데마치야나기 발로 연장, 야간 데마치야나기행 2편 설정.[141]
  • 2021년:
  • 1월 31일: 평일 아침 산조 발 '라이너' 열차 증편.
  • 9월 25일: 아침 쿠즈하 시발 '라이너' 1편, 저녁 데마치야나기행 '라이너' 2편 증편.[22][23]
  • 2022년 9월: 고리엔역-히라카타코엔역 구간 고가화 공사 시작.[3]
  • 2023년 8월 26일: 아침 하행·저녁 상행 '라이너' 증편, 저녁 데마치야나기 발 요도야바시행 '라이너' 1편 신설. 아침 쿠즈하 발 3편, 히라카타시 발 1편 '라이너', 고리엔·네야가와시 정차.[148]
  • 2027년: 고리엔역-히라카타코엔역 구간 고가화 공사 완료 예정.[3]
  • 2028년: 고리엔역-히라카타코엔역 구간 고가선로 전환 예정. 해당 구간 건널목 21개 철거 목표.[3]

5. 역 목록


명역 번호역명일어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구


행준
급통


급급
행심


행쾌


행통




행특
급쾌


급라

너접속 노선소재지직통 운전 구간덴마바시부터
○보통 · 구간 급행 · 준급행 · 통근 준급행 · 쾌속 급행 · 통근 쾌속급행의 일부 … 나카노시마 선 나카노시마 역까지게



선KH 01요도야바시淀屋橋-0km●●●●●●●●●●미도스지 선 (M 17)오사카부오사카시주오구KH 02기타하마北浜0.5km0.5km●●●●●●●●●●사카이스지 선 (K 14)KH 03덴마바시天満橋0.8km1.3km●●●●●●●●●●게이한 전기 철도 나카노시마 선 (일부 직통 운전)
다니마치 선 (T 22)KH 04교바시京橋1.7km3km●●●●●●●●●●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 가타마치 선 · JR 도자이 선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 선 (N 22)미야코지마구KH 05노에野江1.6km4.6km||↑|↓|↑||↑조토구KH 06세키메関目0.7km5.3km||↑|↓|↑||↑이마자토스지 선 (세키메세이이쿠 역 : I 17)KH 07모리쇼지森小路0.9km6.2km||↑|↓|↑||↑아사히구KH 08센바야시千林0.6km6.8km||↑|↓|↑||↑KH 09다키이滝井0.4km7.2km||↑|↓|↑||↑모리구치시KH 10도이土居0.4km7.6km||↑|↓|↑||↑KH 11모리구치시守口市0.7km8.3km●●↑●↓●↑||↑KH 12니시산소西三荘1.1km9.4km●|↑|↓|↑||↑가도마시KH 13가도마시門真市0.7km10.1km●|↑|↓|↑||↑오사카 고속철도 오사카 모노레일 본선 (24)KH 14후루카와바시古川橋0.7km10.8km●|↑|↓|↑||↑KH 15오와다大和田1.2km12km●|↑|↓|↑||↑KH 16가야시마萱島0.8km12.8km●●●|↓|↑||↑네야가와시네야가와 신호소寝屋川信号所1.1km13.9km||↑|↓|↑||↑KH 17네야가와시寝屋川市1.1km15km●●●●●●●||↑KH 18고리엔香里園2.6km17.6km●●●●●●●||↑KH 19고젠지光善寺1.5km19.1km●●●|↓|↑||↑히라카타시KH 20히라카타코엔枚方公園1.7km20.8km●●●●↓|↑||↑KH 21히라카타시枚方市1km21.8km●●●●●●●●|△게이한 전기 철도 가타노 선KH 22고텐야마御殿山1.7km23.5km●●●|↓|↑||↑KH 23마키노牧野2km25.5km●●●|↓|↑||↑KH 24구즈하樟葉2.2km27.7km●●●●●●●●|●KH 25하시모토橋本2.4km30.1km●●||↑||교토부야와타시KH 26야와타시八幡市1.7km31.8km●●●|↑||게이한 전기 철도 고사쿠 선 (오토코야마 케이블)KH 27요도淀3.5km35.3km●●▲▲↑▲|교토시후시미구KH 28주쇼지마中書島4.4km39.7km●●●●●●|게이한 전기 철도 우지 선KH 29후시미모모야마伏見桃山0.9km40.6km●●||↑||KH 30단바바시丹波橋0.7km41.3km●●●●●●|긴키 닛폰 철도 교토 선 (긴테쓰탄바바시 역)KH 31스미조메墨染1km42.3km●●||↑||KH 32후지노모리藤森1km43.3km●●||↑||KH 33후카쿠사深草0.8km44.1km●●||↑||KH 34후시미이나리伏見稲荷0.5km44.6km●●●|↑||KH 35도바카이도鳥羽街道0.6km45.2km●●||↑||히가시야마구KH 36도후쿠지東福寺0.9km46.1km●●||↑||서일본 여객철도 나라 선KH 37시치조七条0.9km47km●●●●●●●KH 38기요미즈고조清水五条0.7km47.7km●●●|↑||KH 39기온시조祇園四条0.9km48.6km●●●●●●●한큐 전철 교토 본선KH 40산조三条0.7km49.3km●●●●●●●도자이 선 (가와라마치 역)오

선KH 41진구마루타마치神宮丸太町1km50.3km●●●|↑||사쿄구KH 42데마치야나기出町柳1.3km51.6km●●●●●●●에이잔 전철 에이잔 본선 (E 01)


6. 이용 현황

2022년도 최혼잡 구간(하행선, 노에 역 → 교바시 역 간) 혼잡률은 116%이다 (7:40~8:40 사이에 통과하는 열차의 평균).[6]

주요 역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 (2022년 기준)
역명승하차 인원
요도야바시역
기타하마 역
덴마바시역
교바시 역
모리구치시역
네야가와시역
고즈엔역
히라카타시역
히라카타코엔역
구즈하역
주쇼지마역
단바바시역
후시미이나리역
시치조역
기요미즈고조역
기온시조역
산조 역
진구마루타마치역
데마치야나기역



(승하차 인원 정보는 원문에 없음)

7. 운전 보안 설비

게이한 본선은 안전 운행을 위해 다양한 설비를 갖추고 있다. 특히 덴마바시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12.5km 구간은 간사이 대형 사철 중 가장 긴 복복선 구간으로, 열차 종류에 따라 주행 선로를 달리하여 열차 운행 횟수가 많은 시간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입체 교차 공사와 배리어프리 대응 공사도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주요 공사는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70년덴마바시역 - 가모생 신호소 간 복복선 입체 교차화
1982년도이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복복선 고가화 (기존 복복선과 합쳐 덴마바시역에서 12.5km 복복선 및 요도야바시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14.1km 입체 교차화)
1987년교토 시내 지하선 (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 완성, 지하 신역에 휠체어 대응 엘리베이터 및 다목적 화장실 설치
1993년히라카타시역 고가화
1999년네야가와시역 고가화
2011년요도역 고가화



이러한 공사를 통해 요도야바시역에서 네야가와시의 네야가와 6호 건널목까지 약 15km 구간이 입체 교차화되었다.[8]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역 - 히라카타시역 구간에서 연속 입체 교차 사업 (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이 진행 중이며, 2028년 이후 완료될 예정이다.[9]

8. 역 설비

오사카시요도야바시역 - 덴마바시역 구간과 교토시시치조역 - 산조역 구간은 지하선이다. 도후쿠지역 - 산조역 구간은 궤도법에 근거한 궤도였으나 2013년 12월 20일 허가로 철도사업법에 근거한 철도로 변경되었다.[130] 덴마바시역 - 네야가와신호소 간 12.5km는 간사이 대수 사철 최장 복복선 구간으로, 열차 종별에 따라 주행 선로를 달리하여 열차 편수가 많은 다이어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입체교차 및 배리어프리 대응 공사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주요 대규모 공사로는 1970년 덴마바시역 - 가모생 신호소 간 복복선 입체 교차화, 1982년 도이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복복선 고가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덴마바시역에서 12.5km 구간 복복선화 및 요도야바시역 - 네야가와 신호소 간 14.1km 구간 입체 교차화가 완료되었다. 1987년에는 교토 시내 지하선(도후쿠지역 - 산조역 간)이 완공되어 휠체어 대응 엘리베이터와 다목적 화장실이 설치되었다.

1993년 히라카타시역, 1999년 네야가와시역, 2011년 요도역이 고가화되었다. 요도야바시역에서 네야가와시 네야가와 6호 건널목까지 약 15km 구간이 입체 교차화되었으며,[8]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역 - 히라카타시역 간 연속입체교차사업(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이 진행 중이다.[9] 해당 사업은 2028년 이후 완료될 예정이다.[9]

9. 기타

게이한 본선은 오사카시의 비즈니스가에 있는 요도야바시역에서 오사카 환상선과 환승역인 교바시역, 교외의 베드타운에 있는 히라카타시역, 교토시 최대의 번화가인 사조통에 위치한 기온시조역을 거쳐 산조역까지를 잇는 도시간 철도(인터어번)이다.

입체교차 공사나 배리어프리 대응 공사는 비교적 진행되고 있다. 주요 대규모 공사는 다음과 같다.



요도야바시역에서 네야가와시의 네야가와 6호 건널목까지 약 15km가 입체 교차화되었다.[8] 2022년 현재, 네야가와시역 - 히라카타시역 간에서 연속입체교차사업(철도 고가교 신설 공사)을 시행하고 있으며, 2028년도 이후에 완료할 예정이다.[9]

참조

[1] PDF http://www.keihan-ho[...]
[2] 웹사이트 https://www.keihan.c[...]
[3] 웹사이트 京阪本線の寝屋川・枚方「高架化」鉄道工事が本格化 起工式開催、完成いつ? https://news.railway[...] 2022-09-12
[4] 보도자료 京阪電車 大津線開業110周年記念特別企画を8月15日(月)から実施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22-08-04
[5] 웹사이트 私鉄の呼称 関西なぜ「○○電車」(とことんサーチ) https://www.nikkei.c[...] 2015-10-31
[6] 간행물 鉄道ダイヤ情報 交通新聞社 2020-10
[7] 문서 東京に向かう方が上りになるため。大阪よりも京都の方が東京に近い。
[8] 문서 ただし回送列車のみが通過する萱島駅 - 寝屋川車庫間の出入庫線に踏切が1か所残っている。
[9] PDF 京阪本線(寝屋川市・枚方市)連続立体交差事業に係る環境影響評価事後調査計画書(変更) https://www.pref.osa[...] 大阪府環境農林水産部 環境管理室環境保全課 2022-11-15
[10] 문서 ほかに場内信号機128基・出発信号機111基・入換信号機256基・誘導信号機58基・中継信号機64基・手信号代用器130基が設置されている。
[11] 서적 データブック 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02
[12] 문서 枚方市駅 - 枚方公園駅間・東福寺駅 - 鳥羽街道駅間などに半径200 m台の曲線あり
[13] 문서 宇治線六地蔵変電所・交野線交野変電所にも送電している。
[14] 문서 京阪公式サイト等の京阪線の停車駅路線図では準急と通勤準急、快速急行と通勤快急を同一種別にまとめて記載している。また、「ライナー」については路線図上では省略され、特急と同じ停車駅の旨のみ記載されている。
[15] PDF 3月19日(土)初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変更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6-01-18
[16] PDF 秋の観光シーズンに淀屋橋発出町柳行き「ノンストップ京阪特急」を運転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1-10-03
[17] 웹사이트 「ノンストップ京阪特急」運転 http://railf.jp/news[...]
[18] 웹사이트 ノンストップ京阪特急“洛楽”運転開始 http://www.keihan.co[...]
[19] PDF 年末年始の列車運転について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3-12-13
[20] PDF 年末年始の列車運転について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4-12-12
[21] PDF 8月20日(日)初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一部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7-06-29
[22] 보도자료 2021年9月25日(土)に京阪線・大津線においてダイヤ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広報部 2021-07-08
[23] 보도자료 京阪線・大津線ダイヤ変更の詳細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広報部 2021-08-20
[24] 웹사이트 女性専用車両 https://www.keihan.c[...]
[25] 문서 京橋駅 - 七条駅間で見れば同区間を38 - 40分で結んでいる。
[26]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27] 문서 2009年第5回京都競馬開催までは「京都競馬開催日のみ」の臨時停車であった。
[28] 문서 2016年9月24日の運用変更で一般車に変更、2017年2月25日改定で淀屋橋17:54発樟葉行きが3000系に変更。
[29] 문서 検査時等一般車代走あり。
[30] 문서 淀屋橋発普通の行き先は2009年当時は出町柳行き。2019年7月現在は三条行き。
[31] 문서 ごく一部に6両編成で運行される便もある。
[32] 문서 西三荘駅 - 大和田駅間の各駅の乗降人員は、野江駅 - 土居駅間の各駅と比べていずれも2倍 - 3倍程度多く、区間急行以下が停車する駅と普通のみ停車する駅との間では同じ各駅停車区間ではあるものの、駅の規模自体にも違いがあると言える。
[33] 웹사이트 珍しい! 女性専用ならぬ「女学生・児童優先」車両とは 京阪電車が1日1本だけ運行 https://trafficnews.[...] 2020-08-19
[34] 문서 東武鉄道では準急と区間急行は千鳥停車の関係にあり上下関係が一致していない。また、京王電鉄も区間急行の英語表記が「Semi Express」であるが、同社には準急は存在しない。
[35] 문서 1980年3月のダイヤ改定まで。普通・区急が四角の板に対して、急行・準急は丸板であったので区別が可能であった。同改定以降は区急の行先表示板の様式を変更し、四角の板のままではあるが、緑字で行先の上に「区急」と表示するようになった。
[36] 문서 null
[37] 문서 null
[38]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39]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40] 웹사이트 京阪電車とJRAは共同で重賞競走「京阪杯」を盛り上げ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1-11-11
[41] 웹사이트 年末年始の列車運転について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2-12-13
[42]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43] 간행물 京阪電気鉄道1960 - 1970 電気車研究会 2013-04
[44] 간행물 京阪電気鉄道1960 - 1970 電気車研究会 2013-04
[45] 간행물 null 交友社 1978-04
[46] 보도자료 年末年始の列車運転について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広報部 2020-11-27
[47] 보도자료 年末年始の列車運転について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広報部 2021-12-06
[48] 간행물 京阪電気鉄道1960 - 1970 電気車研究会 2013-04
[49] 간행물 京阪電気鉄道1960 - 1970 電気車研究会 2013-04
[50] 간행물 null 交友社 1976-04
[51] 문서 null
[52] 웹사이트 京阪線で秋の特別ダイヤを実施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5-08-24
[53] 웹사이트 中之島線開業にあわせ10月19日(日)初発から、京阪線で新ダイヤを実施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08-08-25
[54] 웹사이트 電車の種別と停車駅のご案内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23-05-16
[55] 웹사이트 淀屋橋駅平日上り時刻表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23-05-16
[56] 간행물 京阪電車の戦後史 null 2009-08
[57] 간행물 役割を終えた貨物電車 null 2009-08
[58] 서적 京都の治水と昭和大水害
[59] 서적 電鉄生活三十年
[60]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61] 서적 鉄路五十年
[62] 문서 null
[63] 간행물 null 1972-02
[64] 간행물 京阪電鉄の計画と展望, 京阪電鉄の主要工事, 今後の主要工事 1973-07
[65] 간행물 null 1984
[66] 문서 null
[67] 간행물 null 交友社 2008-02
[68] 문서 null
[69] 간행물 近年の主な改良工事 2000-12
[70] 문서 null
[71] 문서 駅間で直線で繋がっているのは滝井駅 - 野江駅間と龍谷大前深草駅 - 藤森駅間の2か所のみ
[72] 서적 京阪電鉄『鉄路五十年』
[73] 서적 『京阪100年のあゆみ』
[74] 서적 京阪電気鉄道 車両発達史シリーズ1
[75]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京阪電鉄 2011-03-24
[76]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77] 서적 甦る京阪電車の昭和時代 テイチ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
[78] 문서 現在の京橋グランシャトービルの位置
[79] 서적 京阪電車 JTBパブリッシング 2017
[80] 서적 日本の私鉄 京阪
[81]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京阪電鉄
[82] 문서 この事故の翌年、代物弁済として大津線の80形89号が京都市に引き渡され、事故現場の平面交差に脱線転轍器が設置された
[83]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京阪電鉄
[84] 간행물 京都市内の地下化工事の経緯と今後の予定 鉄道ピクトリアル 1984-01
[85]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86] 서적 京都の治水と昭和大水害 文理閣
[87]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京阪電鉄
[88] 서적 鉄路五十年
[89] 서적 鉄路五十年
[90]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91]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92] 간행물 特集 京阪電気鉄道 鉄道ピクトリアル 1984-01
[93] 간행물 特集 京阪電気鉄道 鉄道ピクトリアル 1984-01
[94]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95]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96]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97] 문서 現在は定期列車の後部2両が女子学生生徒優先車両となっている。
[98] 서적 日本の私鉄 京阪
[99]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100] 뉴스 天満橋-淀屋橋間 地下乗入れの起工式 潜函工法で、完成は37年度末予定 京阪電鉄 交通協力会 1960-11-30
[101]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102]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京阪電鉄 2011-03-24
[103] 간행물 交友社 2008-02
[104] 뉴스 1972-09-17
[105] 뉴스 あすから使用開始 交通協力会 1974-08-31
[106] 간행물 京阪電鉄の主要工事 鉄道ピクトリアル 1973-07
[107] 뉴스 23日から上り高架線使用 交通協力会 1975-03-15
[108]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京阪電気鉄道 null
[109]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京阪電気鉄道 null
[110] 뉴스 門真市-寝屋川信号所が完成 交通協力会 1977-07-17
[111] 뉴스 30日から高架使用 京阪電鉄門真市-寝屋川信号所間 交通協力会 1978-07-14
[112] 뉴스 京阪電鉄 大幅にダイヤ改正 土居-寝屋川信号所間五.八キロ 高架複々線化、きょう使用開始 交通協力会 1980-03-16
[113] 문서 地下区間始点は東福寺駅 - 七条駅間・京都市東山区一橋野本町付近 null null
[114] 간행물 開業80年記念誌『過去が咲いてる今』巻末年表 くらしの中の京阪 1998-09
[115] 뉴스 下り線も連続立交化 京阪電鉄枚方市駅付近 24日から使用開始 交通新聞社 1990-03-14
[116] 뉴스 京阪電鉄がダイヤ改正 来月1日 交野線高架切替えで 交通新聞社 1991-05-24
[117] 뉴스 京阪、30日ダイヤ改正 交野線全線複線化で 交通新聞社 1993-01-20
[118] 뉴스 近畿圏中心に強い地震 JR、私鉄に大きな被害 復旧に相当な時間 交通新聞社 1995-01-18
[119] 간행물 くらしの中の京阪 null 1997-05
[120] 간행물 くらしの中の京阪 null 1998-02
[121] 웹사이트 くらしのなかの京阪 2002年6月号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22-12-18
[122] 간행물 鉄道記録帳2003年9月 鉄道友の会 2003-12-01
[123] 웹사이트 京都市内の京阪線3駅の駅名を変更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07-11-06
[124] 문서 運転台付き車両201両のうち84両で使用可能、2012年度中に全編成に設置が完了予定 null null
[125] 간행물 京阪トピックス 京阪第89期 中間期株主通信 null
[126] 웹사이트 淀駅付近高架化等に伴う営業キロ程変更により5月28日(土)から旅客運賃を一部変更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1-03-01
[127] 웹사이트 淀駅付近立体交差化事業における上り線(京都方面行き)の高架化に伴い5月28日(土)始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一部変更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1-03-01
[128] 서적 京阪グループ 開業110周年記念誌 京阪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2020-11-01
[129] 웹사이트 淀駅付近立体交差化事業の進捗に伴い3月16日(土)初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一部変更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3-01-17
[130]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null
[131]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5-06
[132]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5-12
[133]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6-03
[134]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7-02
[135] 웹사이트 2月25日(土)初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7-01-13
[136]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7-05
[137] 뉴스 京阪電鉄、関電から新電力に切り替え 関西の大手私鉄で初 https://web.archive.[...] 2017-05-10
[138]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8-06
[139]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8-01
[140]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8-09
[141] 웹사이트 9月15日(土)初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変更します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8-08-16
[142] 웹사이트 2019年10月1日(火)から京阪電車「深草」駅が 「龍谷大前深草」に駅名変更 ニュース http://www.ryukoku.a[...] 龍谷大学 2019-05-14
[143] 웹사이트 2019年10月1日(火)より京阪線2駅の駅名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株式会社・京阪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2019-05-14
[144]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9-11
[144] 서적 京阪グループ 開業110周年記念誌 - 最近10年のあゆみ 2010-2020 - 京阪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2020-11-01
[145]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https://www.okeihan.[...] K PRESS 2020-05-06
[146] 보도자료 「安全安心」のさらなる向上を目指した施策・サービスを展開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21-01-27
[147] 보도자료 2021年1月31日(日)初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h[...] 京阪電気鉄道広報部 2020-12-04
[148] 보도자료 2023年8月26日(土)初発から京阪線のダイヤ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h[...] 京阪電気鉄道 2023-06-26
[149]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4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7-14
[150] 서적 都市交通年報
[151] 웹사이트 ひとと環境にやさしい鉄道を目指して http://www.mintetsu.[...] 日本民営鉄道協会
[152] 웹사이트 平成28年度鉄道設備投資計画について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6-06-24
[153] 웹사이트 平成30年度鉄道設備投資計画について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8-06-15
[154]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9-11
[155]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21-01
[156]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20-02
[157]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1973-07
[158]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4-03
[159] 뉴스 関西鉄道各社、外国人受け入れ体制強化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4-04-05
[160] 웹사이트 旅客連絡運輸規則 https://www.jr-odeka[...] 西日本旅客鉄道 2021
[161] 문서 차내 환승 방송 없음, 공식 환승역 아님
[162] 문서 경한 전기철도의 키로포스트 설치 위치
[163] 서적 京阪グループ開業110周年記念誌
[164]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8-02
[165] 서적 京阪グループ開業110周年記念誌
[166] 서적 京阪グループ開業110周年記念誌
[167] 웹사이트 全駅・全ホームへの「ホーム点字ブロック内方線」の整備が完了しました。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0-03-26
[168]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2014-02
[169]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4-09
[170] 문서 清水오조역, 7조역 등에 설치
[171] 비디오 出町柳から淀屋橋へ 京阪特急 運転室展望と沿線紹介 京阪エージェンシー 2003-10
[172]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2009-08
[172]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アーカイブセレクション25『京阪電気鉄道』1960 - 1970
[173]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4-12
[174]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K PRESS 2017-10
[175] 웹사이트 駅ホームの安全性の向上に、ハード、ソフト両面から努め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7-03-30
[176] 웹사이트 座席が天井から下りてくる 「多扉電車」京阪5000系引退へ 50年の歴史に幕 (1/3) https://web.archive.[...] ITmedia NEWS 2017-06-27
[177] 웹사이트 ラッシュ時に活躍した「多扉車」、ついに全滅に https://www.tetsudo.[...] 朝日インタラクティブ 2021-09-18
[178] 보도자료 京橋駅1・2番線ホームの可動式ホーム柵の使用を開始します 1番線は2022年1月30日(日)、2番線は2月20日(日)から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22-03-21
[179] 뉴스 京阪、20駅を無人化 今期黒字目指し構造改革 https://newswitch.jp[...] 日刊工業新聞 2021-04-07
[180] 웹사이트 野江駅 https://www.keihan.c[...]
[181] 웹사이트 伏見稲荷駅 https://www.keihan.c[...]
[182] 간행물 随想・京阪讃歌 電気車研究会 1973-07
[183] 문서 KPRESS 2010年8月号 12面の記事
[184] 뉴스 「オカンの嫁入り」呉美保監督にインタビューしました(5)牧野駅を選んだ理由 http://www.hira2.jp/[...] 2017-09-12
[185] PDF 京都伏見が舞台のアニメ「いなり、こんこん、恋いろは。」とコラボレーションした特製乗車券を発売! http://www.keihan.co[...] 京阪電気鉄道 2014-01-24
[186] 웹사이트 映画「HELLO WORLD」デジタルスタンプラリー https://www.okeihan.[...] 京阪電気鉄道 2019-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